논문
국내 화학사고 조사분석 및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
- 작성자 소방정책연구실
- 작성일 2021-12-16
- 조회수 790
내용
2020 국내 화학사고 통계분석 및 사고이력물질 정보제공 - 전국 18 시도소방본부에서 제공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한 통계분석연구임 - 중구본 7개 119화학구조센터 출동내역에서 시도소방과의 중복 출동은 배제하였고 독자적인 출동은 반영하였음 경기소방, 울산소방 화학사고 최다; 인천소방 인명피해 최다 - 2020년 화학사고 전체 240건 중 경기 29%(69건), 울산 14%(33건) 높은 발생 빈도 차지 - 화학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인천(사망 4, 부상 16), 울산(사망 1, 부상 19), 경기(사망 1, 부상 11), 부산(사망 3, 부상 5) 순으로 피해 발생 초중등학교 화학물질 누출사고(수은 & 포르말린) 증가 - 2020년 가장 높은 사고건수를 차지한 액체 중금속 "수은(Hg)" 누출사고(21건) 중 초중고교에서 15건 발생 - 학교 과학실 내 동식물 표본에 사용되는 매우 유해한 발암물질 "포르말린(HCHO)" 용액 누출사고(7건) 발생 여름철 화학사고 대비 예방점검 및 대응교육 대비 - 화학사고는 기온이 상승하는 6~9월에 106건(44%)으로 여름철에 많은 사고 발생 - 여름이 다가오기 전 화학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특별안전점검 계획수립 방안 마련 필요 https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10818144 |
|
첨부 파일 |
|
---|